EKS Log 관리에 대한 방법을 알아봅니다. 원래 애플리케이션 로그는 어디에 저장해야 할까요? EKS LOG 수집 데이터 노드의 IAM 역할에 정책 추가 CloudWatch용 네임스페이스 생성 플루언트디 컨테이너를 데몬셋으로 동작시키기 로그 저장…
EKS CloudWatch 관련 정보에 대해 알아봅니다. 모니터링 클러스터 상태 파악 관리형 노드 그룹 생성 CloudWatch의 Container Insights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파악합니다. 데이터 노드의 IAM 역할에 정책 추가 CloudWatch용 네임스페이스 생성 CloudWatch용…
아마존 EKS 리소스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파드 헬스 체크 파드를 안전하게 외부로 공유하기 위해서는 헬스 체크가 필요합니다. 아마존 EKS Readiness Probe 파드와 연결된 서비스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Readiness Probe를 사용합니다.이것을…
AWS EKS 기타 리소스에 대해 알아봅니다. AWS EKS 컨테이너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타 리소스 노드 각각에 반드시 파드 하나를 동작시키는 데몬셋 영구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스테이트풀셋 네임스페이스 쿠버네티스 표준으로 생성되는 네임스페이스…
레플리카셋 사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디플로이먼트 디플로이먼트 정의 디플로이먼트 목록 표시 디플로이먼트 하위에서 생성되는 레플리카셋 ReplicaSet 으로 생성된 파드 kubectl describe 명령으로 상세 정보 수집 크론잡으로 스케줄 동작 CronJob 크론잡의 정의…
쿠버네티스 파드 생성과 사용에 대해 알아봅니다. POD 생성 Pod는 쿠버네티스에서 실행되는 최소 단위입니다. 웹서비스 구동에 필요한 최소 단위로 독립적인 공간과 사용 가능한 IP로 구성됩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는 yaml 파일을…
Amazon EKS 구축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Amazon EKS(Elastic Kubernetes Service) Amazon EKS의 장점 Amazon EKS 특징 쿠버네티스 환경 구축과 예제 애플리케이션 배포 웹 어플리케이션 프런트엔드 파일은 S3에 저장 CloudFront를 통해…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봅니다.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특징 도커 정의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쿠버테티스의 기본 오브젝트 쿠버네티스 구성 요소 이상으로 쿠버네티스에 대한 요소들을 알아봤습니다.
도커 컨테이너 관련 내용을 알아봅니다. 도커를 알아야 하는 이유 파드, 컨테이너, 도커, 쿠버네티스의 관계 컨테이너 이미지 알아보기 컨테이너 실행하기 컨테이너 내부 파일 변경하기 사용하지 않는 컨테이너 정리하기 4가지 방법으로 컨테이너…
쿠버네티스 사용법 관련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파드를 생성하는 방법 – 쿠버네티스 사용법 오브젝트 오브젝트 : Spect과 Status 등의 값을 가지고 있는 파드와 디플로이먼트를 개별 속성을 포함해 부르는 단위 기본 오브젝트 레플라카셋으로…